catch-22 뜻 catch-22라는 말의 뜻은 무엇일까? 사전에서 찾아보면, 딜레마 진퇴양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 을 뜻한다고 한다. 특히, 한자권에서는 진퇴양난이라는 말이 많이 쓰이는데, 진퇴양난은 전진하기도, 후퇴하기도 선택하기 어려운 상황을 말한다. 반면, 이와 유사한 뜻으로 딜레마라는 단어를 살펴보자. di(two) + lemma (명제)는 그리스 어원으로부터 비롯되는데 두 명제/ 제안 중 선택해야 하는 상황 (주로 선택하기 곤란한)을 뜻한다. catch-22의 기원 미국 작가 Joseph Heller의 소설 Catch-22에서 기원한 표현이다. 군사적 규칙으로, 순환논리적인 구조를 통해 병사들이 전투 임무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는 것을 의미했다. (예: 전역을 하려면..
O'Reilly ebook - 온라인 독서 비용 절약하기 특히 컴퓨터 관련 서적의 경우, O'Reilly는 유명한 출판사이다. 국내의 경우, 주로 한빛출판사에서 번역본이 많이 나오긴 하는데 번역본의 경우 한국에서 출간되기 까지 굉장히 오랜 시간이 걸린다. 원서로 봐도 상관없는 사람들 중에도 책은 그래도 손맛이라고 종이책을 선호하는 사람들도 여전히 많다. 국내에 유통되지 않는 책의 경우 구매 자체에도 오래 걸리고, 국내 서점에서 공급되지 않은 책이라면 더더욱 배송비도 만만찮다. 컴퓨터 서적의 경우, 수명이 짧은 편이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보는 것이 의미가 있다. Amazon 킨들을 사용하는 경우, 종이서적보다는 만족도가 낮지만 일반 e-book 보다는 종이에 가까운 만족도를 보여주기도 한다. 그러나, 보..
예전에 멋모르고 입었던 면티에 대문자로 써있던 문구다. 대문자로 WHEN IT COMES TO라고 써 있었는데, IT가 뭔가 중요하게 되는 것인가 생각했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나, 나중에 알고 보니 IT와는 전혀 상관이 없었다. 그리고, 세월이 지나 회의실에서 이런 표현을 하는 외국인들을 보게 되었다. when it comes to 뜻 when it comes to sth 이라고 할 때, 직역해 보자. (그것)이 sth에 가까워지면, 도달하면, ~이 되면 등의 이미지가 된다. 직역만으로는 이 표현의 뜻이 확 와닿지 않는데, 이 표현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에 관해서는 ~에 한해서는 ~ 문제에 한해서는 ~에 이르면 ~에 대해 말하자면 Examples When it comes to computers, he..
직관적으로 '-의 가운데'라는 뜻이다. 그런데, 이것이 꼭 어떤 위치상 가운데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하는 중이야'를 영작하면 습관적으로 동사 + ing 유형의 답을 먼저 머리에 그리게 된다. 이럴 떄, in the middle of 명사 또는 ~ing를 활용한 다른 표현도 생각해 보자. ~하는 중이야 ~하느라 (지금) 바빠: ~하는 한 가운데 있으므로 등의 의미 전달이 가능하다. Examples I am in the middle of a meeting. I am in the middle of doing something.
멋진 것은 따라 하고 싶기 마련이죠. 유명 K-pop 댄스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처음에는 서툴렀지만, 열심히 노력하는 과정을 거쳐서 그 결과물을 만든 후, 유튜브 영상을 업로드하고 싶을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내가 열심히 노력해서 만든 콘텐츠니까 유튜브 영상 저작권에 괜찮지 않을까요? 판례 소개 2012년에 이와 관련한 판례가 있었습니다. 서울고등법원 2012/10/24, 선고 2011나104668 판결-걸그룹 시크릿의 샤이보이 안무에 대한 건입니다. 방송 댄스를 가르치는 모학원에서 '시크릿'의 '샤이보이' 수강료를 받고 안무를 가르쳤고, 이 과정을 영상으로 촬영했습니다. 그리고, 이 영상을 인터넷에 올렸습니다. 해당 안무가는 댄스학원측에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하였고, 법원에서는 창작성이 있는 저작..
직장 동료가 말한다. Hey, can I take a rain check on it? 비오는지 체크해달라는 이야기인가? 갑자기 비오는지 날씨가 궁금하다고? Rain Check 뜻 원래 이 표현은, 야구 경기 또는 야외 콘서트 등과 같은 야외 이벤트가 우천시 사정으로 연기되거나 중단될 경우 관람객/고객에게 양해를 구하기 위해 주는 "나중에 다시 사용할 수 있는 티켓"을 말한다. 즉, 지금은 불가피하니 다음 기회를 양해 구하는 셈이다. 본래의 의미가 야외 경기/콘서트에 국한되지 않ㅇ고, 비즈니스 상황이나 일반 생활에서도 쓰이게 되었는데, 그 의미도 연장선상에서 유사한 의미를 지닌다. (현재는 어떤 상황으로 인해 어려우니) 나중으로 미루자/ 다음에 편한 날로 다시 일정을 잡자는 의미가 된다. Examples ..
흑백논리를 기준으로 하면, 흑도 아니고 백도 아닌 중간 지역이 존재한다. 흑백논리가 좋다는 것이 아니라, 어느 쪽으로 분류하기가 애매한 지역 불분명한 것 알 수 없는 것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것 등을 나타낼 때, 이 표현을 사용할 수 있다. Examples Is there a grey area? I think the requirement is a grey area yet.
http://www.yes24.com/Product/Goods/90971495?OzSrank=1 절대수익 투자법칙 자산이 저절로 늘어나는 마법, 투자왕 김단테의 출간 펀딩 2,430% 달성 성공! ’올웨더‘와 함께라면 투자, 잊어도 된다!코로나19 위기로 주식시장이 급락하고 다시 반등하는 롤러코스터 장세의 www.yes24.com 들어가며 먼저 저자가 이 투자방식으로 부를 이뤘는가를 묻는다면 '아니다'라고 답할 것이다. 창업한 회사가 카카오에 인수합병 되면서 부를 이뤘기 떄문이다. 그러면, 책의 저자가 이 방식을 선전하는데 믿어도 되는 것일까? 무슨 방법이길래? ..라는 생각을 하면서 책을 읽게 되었다. 투자를 잘 모르는 나로서는, 쉽게 생각하면 이 책은 '우산장수, 소금장수' 이야기와 닮은 투자법칙이라..
lol 뜻 요즘엔 lol이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league of legend라고 생각할 것 같다. 예전에 디아블로를 하던 시절에는 lol이 라고 채팅창에 뜨면 쌍칼 든 바바리안인가 라고 생각했던 것처럼, 게임과 연관이 있으려나 생각할 수 있는데, 사실 외국인들과 채팅하다 보면 은근히 많이 보게 되는 단어가 lol인 것 같다. 물론, 앞에서 말한 대화와는 전혀 상관없는 맥락에서. You know what? I've been there, lol. LOL(lol)은 laugh out loud의 뜻이다. '크게 소리 내서 웃다' 라는 말이다. 인터넷 상에서, lol과 비슷하게 쓰이는 우리말 표현을 굳이 찾자면, 'ㅋㅋ'와 비슷할 수도 있다. laugh out loud는 크게 웃는 거니까, 'ㅋㅋㅋㅋㅋㅋㅋㅋ..
소수 영어로 읽는 방법 1.2, 0.3, 5.5, 3.14와 같은 소수는 영어로 어떻게 읽을까? 본 포스트에서는 소수를 읽는 방법에 대해 정리한다. 소수 읽기 규칙 소수는 X.YZ의 형태로 표기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룰을 적용하면 된다. 정수부 X는 일반 자연수를 읽는 방법과 동일하게 읽는다. 두 자리 수, 세 자리 수가 되라도 평소 자연수를 영어로 읽듯이 있는다. X가 0인 경우는, X를 읽기 생략할 수 있다. .는 point라고 읽는다. 소수점 뒷자리에 오는 0은 읽기 생략할 수 없다. (임의로 생략하면 자릿수가 훼손될 수 있으므로) 소수점 뒷자리에 오는 0은 zero 또는 oh로 읽는다. 소숫점 뒷자리에 오는 숫자들은 한 글자씩 읽는다. Examples 1.2 = one point ..
의미 상상해 보기 nut는 어떤 나무 열매다. 다람쥐가 좋아하는 나무 열매라 치자. 그리고 그것의 껍데기는 shell이다. nutshell은 결국, nut가 들어가는 껍데기이다. in a nutshell은 '나무열매가 들어가는 껍데기 속에 있는' 즉 '나무열매 껍데기에 들어갈 정도 크기의'라는 의미가 되겠다. 따라서, 굉장히 작은 크기라는 뜻이 된다. 내가 가지고 있는 무언가를 저기에 담아야 한다면, 쓸데 없는 것들은 다 버리고 핵심의 핵심만 추려야 저 작은 껍데기에 담을 수 있을 것이다. in a nutshell 뜻 원래 사전상의 뜻으로는 아주 간단히 말하면, 요점만 말하면, 한 마디로의 뜻이다. IT쪽 책들을 보면, Java in a nutshell, Algorithm in a nutshell 등과 ..
비밀 유지 계약서 친구 사이에서 '이건 너만 알아둬' 혹은 'off the record인데' 라고 말하는 경우, 거의 100%에 가깝게 '너만 알아두거나' 'off the record'로 유지되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사실 위와 같은 경우라면, 어느 정도 누출이 될 것도 감안하고 말을 하는 것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말을 하고 싶은 본능이 말을 하면 안된다는 이성을 넘어서는 것이죠. 그런데, 개인의 일이 아니라 회사일 혹은 계약 등과 관련된 사안이라면 어떨까요? 너만 알아두고, 이건 어디가서 말하면 안된다고 말로 해도 충분할 리가 없겠죠. 그래서, 일종의 계약서를 씁니다. NDA(Non-Disclosure Agreement) 단어부터 볼까요? close = 닫다/덮다 dis(반대) +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