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속과목강문계란? 옛날에 학교에서 배웠던 종속과목강문계가 영어로 무엇인지 궁금했다. Database 책을 보다가 우연히 예제에서 보게 되어, 더 찾아보았다. 쳬계 종
every + 기수 + 복수 = every + 서수 + 단수 eg. 5일마다 every 5 days = every 5th day
남의 눈에 띄지 않으려 하다 try to keep a low profile Example I guess she was trying to keep a low profile. 그녀가 남의 눈에 띄지 않으려고 했던 것 같아.
behind schedule 이 프로젝트는 예정보다 세 달 늦어지고 있다. This project is three months behind schedule.
Recommended Reading List Books for H/W Developers I/O Interconnection Technologies Designing High-Speed Interconnect Circuits/Dennis Miller Jitter, Noise, and Signal Integrity at High-Speed/Mike Peng Li Timing Analysis and Simulation for Signal Integrity Engineers/Greg Edlund High-Speed Signal Propagation: Advanced Black Magic/Howard W. Johnson Introduction to PCI Express*/Adam Wilen, Justin Sch..
영어로 임대인? 임차인? 임대인, 집주인 landlord, landlady the person who actually owns the building 임차인, 세입자, 입주자 tenant the person who is renting the building 관리인 manager the person who cares about everything in the building
그 사람들은 천생연분이다.
from : http://agile.dzone.com/news/top-50-new-software 1 Dreaming in Code: Two Dozen Programmers, Three Years, 4,732 Bugs, and One Quest for Transcendent Software/Scott Rosenberg/ 26-1-2007 2 Clean Code: A Handbook of Agile Software Craftsmanship/Robert C. Martin/ 11-8-2008 3 Pragmatic Thinking and Learning: Refactor Your Wetware/Andy Hunt/ 15-8-2008 4 Managing Humans: Biting and Humorous Tales ..
This is too good to be true.
베블런 효과 "상층계급의 두드러진 소비는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하여 자각없이 행해진다."고 Thorstein B. Veblen이라는 사람이 이라는 저서를 통해 소개한 개념이다. 가격이 오르는데도 일부 계층의 과시욕이나 허영심 등으로 인해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현상을 일컫는다. BusinessDictionary.com에 인용된, Veblen effect의 정의를 소개하자면, Abnormal market behavior where consumers purchas the higher-priced goods whereas similar low-priced (but not identical) substitutes are available. It is caused either by the belief that ..
예전에는 A를 선택함으로써 포기하게 되는 B의 비용이라고만 막연히 알고 있었다. 짜장을 선택했기 때문에 포기해야하는 짬뽕의 가치랄까. 두 개의 선택 중, 하나를 택하는 상황만 생각해 봤는데, 여러 개의 경우는 포기한 가치 중 가장 큰 가치를 뜻하는 것이라는 걸 알게 되었다. 기회비용의 정의가, '여러 선택방안 중에서 한 개를 선택했을 때 포기한 대안 가운데 가장 좋은 한 가지의 가치' 라고 한다. 주어진 10만원에 대해, A - 7만원짜리 옷을 산다. B - 8만원짜리 MP3를 산다. C - 9만원짜리 신발을 산다. 사고 싶은 것을 사는 걸 좋은 가치라고 생각한다면, B를 택했을 때의 기회비용은 9만원이 되는 것 같은데.. 돈 절약 관점에서는 돈을 덜 쓰는게 더 좋은 가치가 되는 건 아닐까? 그럼, 7만..
손이 tight 하다 = 바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