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공약수 구하는 법 - 4가지 이번에는 최대공약수 구하는법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먼저 최대공약수란 무엇인지부터 살펴봐야겠죠? 요새는 초등학교 5학년 수학 과정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무조건 외우게 하는 것보다, 원리와 배경을 통해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대공약수란? 최대공약수는 한자로 最大公約數라고 씁니다. 最大: 가장 크다 公約數: 공평하게 나눈 수 (똑같이 나눈 수) 즉, 공약수 중 가장 큰 수라는 뜻입니다. 우리 말로 풀어써도 어렵습니다. 한편, 최대공약수를 영어로는 Great Common Divisior 라고 부릅니다. Divisior = 나누는 수 = 약수 Common = 공통의 Great = 가장 큰 한자로 표기한 최대 공약수와 거의 비슷한 뜻이라 볼 수 있습니다. 오히려,..
서로소, 소수에 대해 예전에는 아무 거리낌 없이 받아들이고 그러려니 했던 말 중에 서로소라고 있습니다. 이것을 설명하려니 왜 탁 막힐까요? 아마, 당시에 나의 언어로 소화하는 과정을 잘 거치지 않았던 모양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예전에 그냥 외웠죠. '2, 3, 5, 7, 11 같은 것을 소수라고 해'라고 외웠는데. 왜 이들을 소수라고 부르고, 소수란 어떤 뜻을 가질까요? 소수의 뜻 우리나라에서는 소수를 한자로 씁니다. 素數라고 하네요. 素: 흴 소, 본디 소 라는 뜻으로 보아, 소수에서의 의미는 '본디'에 해당되겠습니다. 영어로는 소수를 prime number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prime: 최고의, 최초의, 최상의 대략적인 의미는 1등의, 제일 앞에 서는, 기본이 되는 등의 뜻이겠죠. 결국, 소수에..
그냥 무조건 외웠던 곱셈공식. 그림으로 접근하면 다른 관점에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그림으로 살펴보는 (a + b) x (a + b) $ (a+b)^2 = (a+b)\times(a+b) = a^2 + 2ab + b^2 $ 이것을 그림으로 표현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즉, a와 b의 합을 한 변으로 하는 정사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것과 같이 됩니다. 각 구역을 색깔을 입혀보면, 아래와 같이 됩니다. 이 정사각형의 넓이는, 윗쪽의 작은 정사각형의 넓이와 아랫쪽의 큰 정사각형의 넓이, 그리고 두 개의 노란 직사각형의 넓이의 합으로 구성됩니다. 두 개의 노란 직사각형은 서로 넓이가 같습니다. 작은 정사각형 넓이 $ s1 = a^2 $ 큰 정사각형 넓이 $ s2 = b^2 $ 직사각형 넓이 $ s3 = a ..
베스킨라빈스게임이란? 베스킨라빈스게임에 대해서 아시나요? 베스킨라빈스 하면 어떤 숫자가 떠오르나요? 31이죠! Baskin & Robbins 31 Flavors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인데요. 이 게임은 사실, 31만 차용했을 뿐 베스킨라빈스와는 그다지 큰 관련이 없습니다. 체리쥬빌레, 엄마는 외계인, 아몬드 봉봉 등 이름을 누가 더 많이 아느냐는 승패와는 전혀 관련이 없죠. 규칙은 간단합니다. * 게임은 두 명이 한다. * 번갈아 가면서 숫자를 말한다. * 한 번에 말할 수 있는 숫자는 1개~3개이다. * 숫자는 건너 뛸 수 없고, 연속된 숫자를 말할 수 있다. * 상대방이 말한 다음 숫자부터 이어서 말한다. * 자기 차례에 31을 말하면 진다. 써놓고 보니, 복잡해 보이지만 예를 들면 간단하다고 알게 됩..
마름모 넓이 공식 마름모 넓이 공식은 무작정 외우는 것보다 그림으로 설명하는 것이 더 좋은 것 같습니다. 크게 두 가지 경우로 나눠서 생각해 볼 수 있겠습니다. 대각선들의 길이가 주어졌을 때 위와 같은 마름모가 주어졌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위의 마름모는 다음과 같이 네 개의 삼각형으로 나눠집니다. 그런데, 이 마름모는 다음의 한 개의 삼각형이 좌우 대칭과 상하 대칭이 모인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각 변의 길이는 원래 주어진 대각선 길이의 반이 되고, 마름모의 넓이는 위 네 개의 각 삼각형의 넓이의 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삼각형의 넓이는, $ s_1 = 4cm \times 5cm \div 2 = 10cm^2 $ 전체 마름모의 넓이는 이 삼각형이 네 개이므로, $ s = s_1 \times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