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kgmgr /iu:"TelnetClient"
출처) http://infodotnet.blogspot.com/2008/03/install-and-configure-freeradius-with.html
라디오에서 듣다보니, g가 두 번 나오는데, 한 번을 약하게 발음해주라는 내용을 우연히 듣게 되어 사전을 찾아 보게 되었다. 한글로, "써제스트"만 알고 있었는데, "써ㄱ제스트"라고 하라는 것이었다. Longman contemporary dictionary에도 두 가지의 발음이 소개된다. 사전에는 가운데 g가 들어간 발음이 US 발음이라고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중간 g는 약하게 발음하자.
* 기간 : 2010/9/11 ~ 2010/10/3 이 책을 웹 개발 초창기에 알았더라면, 개념을 잡는데 큰 도움을 받았을 것이다. 웹 표준을 익히고, CSS의 개념을 익히는데 도움을 준다고 생각한다. jQuery를 쓰는 사람들은 jQuery의 selector가 이 책에서 알려준 기본과 연관성이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JSP를 배우기 전에 먼저 보면 좋을 책이다. 먼저 JSP를 한 사람들이라면 부담없이 보아두면 좋겠다.
1. 어떤 사용자 id가 등록되어 있는지 보려면, select * from dba_users; 2. 특정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려면, alter user 사용자명 identified by 비밀번호;
* 기간 : 2010/8/30 ~ 2010/9/9 예제로 보여준 현황판과 포스트잇을 활용한 운용. 이터레이션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멋지게 보여준 책. 소멸 그래프 및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도 재밌어 보였다. 아, 계획 포커게임도 언젠가는 직접 해보고 싶다. 일하는 도중 듣거나 느낄 수 있는 생각을 참 현실감 있게 옮겨 놓은 것 같다. '아, 이럴 땐 어떡하지?' 라는 생각이 드는 상황들에 대해 공감이 많이 간다. 모두 함께 읽고, 같이 적용해 봤으면 좋겠다.
Head First 시리즈 중에서 처음으로 읽은 책이다. 요즘 나오는 다른 책중에 디자인 패턴을 언급하는 부분에서는, 꼭 이 책을 보라고 한다. 아마도, 그 이유는 비교적 요즘 나와서 그렇거나, 말이 쉽게 되어 있어서 비교적 이해하기 쉬워서 그런 것일 듯 하다. 정말 그렇다. Head First 시리즈에 좋은 인상을 갖게 해준 책이다. 심지어는 빌려서 읽고서는 소장 욕심에 또 따로 구하기도 했다! 근처에 놓고, 생각 날 때마다 펼쳐 볼 가치가 있다.
archeologist : 고고학자 exotic : 이국적인 courteous : polite courtesy : n. politeness, a. provided free by a company in terms of ~ : ~의 측면에서, ~을 말하자면 as for ~ : ~에 관해서는, ~을 언급하자면 as a result of ~ : ~의 결과로서 amenity : 편의시설, something that makes a place comfortable or easy to live in pharmaceutical :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drugs and medicines pediatrician : paediatrician 소아과 의사 surgeon : 외과의사 routin..
moreunit은 작성중인 클래스에 테스트 코드가 작성되어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플러그인이다. 해당 플러그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http://moreunit.sourceforge.net/index.html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설치는, 직접 다운로드하여 플러그인 디렉토리에 풀어주거나, 이클립스 플러그인 설치 메뉴로부터, http://moreunit.sourceforge.net/update-site/ 를 등록하여 다른 플러그인 설치 과정과 동일하게 설치하면 된다. 본인의 경우, 별다른 기본 설정없이도 작성중인 클래스에 대해 테스트 클래스를 찾아 보여주었는데, 설정이 동작하지 않는다면 properties context menu로부터 세부 설정이 가능하다. 동작시의 화면은 moreunit의 공식사이..
"아이폰 살거야? 아니면, 안드로이드 폰 살거야?" 라고 누군가 묻는다면, I am back and forth about that. 나도 그 점이 왔다갔다 해
at least, 위치에 따라 뜻이 달라진다? at least는 흔히 알기로, 수식하려는 말 앞에 오면 "적어도 ~"을 뜻한다. "at least A" 는 "적어도 A'"라고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at least가 문장 맨 뒤에 온다면 조금 다른 의미로 쓰인다고 한다. Examples Could you lend me at least $10? 최소(적어도) 10달러 빌려줄래? 그런데, 다음 문장을 보자. Could you lend me $10 at least? 다만 10달러라도 빌려 줄 수 있어? 10달러라도 좋으니 빌려줄 수 있어? 라는 뜻이 된다. 수식어의 위치에 따라, 다른 뉘앙스를 나타낼 수 있으니 유의하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메일이 왔습니다. Microsoft Social Web Platform에 대한 세미나가 있다고 하네요. 등록하는 곳의 URL은, http://new.imaso.co.kr/seminars/codeparty1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