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rydayminder
dig 명령어로 DNS 확인하기 dig는 접속하고자 하는 사이트 혹은 운영중인 사이트에 액세스 문제가 발생한 것은 아닌지, 정상 접속 가능한지 등등 네트워크 문제를 진단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툴이다. dig라는 이름이 Domain Information Groper 라는 full name으로부터 유래 되었기 때문에, 도메인 특화 유틸리티라는 것을 알 수 있다. man page 설명 NAME dig - DNS lookup utility SYNOPSIS dig [@server] [-b address] [-c class] [-f filename] [-k filename] [-m] [-p port#] [-q name] [-t type] [-v] [-x addr] [-y [hmac:]name:key] [-4] [-..
java DNS TTL 설정 자바에서 DNS 설정하는 여러가지 방법에 대해 확인해 보자. 배경 - DNS 기반 redundancy layer DNS에 여러 A 레코드를 두고, DNS lookup을 하면 그 중 하나의 A 레코드를 반환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서비스의 부하 분산, 지역 분산 및 혹시 모를 장애 대비도 할 수 있다. 그런데, DNS에 기반한 위 가정에 맞추려면, java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꼭 챙겨야 하는 설정이 있다. DNS Client Cache 설정 어떤 URL이 주어지면, DNS에 대한 질의를 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와 그에 대한 답을 하는 서버로 역할이 나눠진다. 실행하는 자바 애플리케이션이 어떤 주소를 확인하기 위해 매번 DNS 질의를 해야 한다면 (아무리 패킷이 작더라도) 그만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