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rydayminder
gist는? gist는 간단히 말해 소스를 공유하는 서비스라고 보면 된다. 그리고, 이 서비스는 github.com에서 제공한다. gist로 코드를 생성하면, 나중에 다른 곳에서도 재사용하기 쉽다. 생성된 스크립트만 복사하면 되고, gist 자체적으로 히스토리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코드 생성 방법 https://gist.github.com에 접속해서, github 계정이 없다면 계정을 만들자. 가입한 후 로그인하면 1번과 같이 상단의 + 버튼을 클릭하면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코드 모음이 생성되면, 이 코드가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을 2번 위치에 적어준다. 확장자를 포함하여 임의의 파일명을 3번 위치에 적어준다. 이 파일명을 바탕으로 syntax highlighter가 활성화된다. (문법 표시) 인용할 ..
많은 블로거들이 불펌을 방지하기 위해 플러그인 설정을 하여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사용못하게 막아두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해도 되는 블로그가 있고, 그렇지 않은 블로그가 있는 것 같습니다. 코딩과 관련된 내용을 공유하는 블로그들이 그럴텐데요. 복사를 못하게 해 놓으니, 정작 본인 조차도 불편하게 됩니다. 저는 그렇더군요. 다른 사람들을 위해서 적어놓은 부분도 있지만, 저 자신도 불편해졌습니다. 매번 수정 모드로 들어가서 복사해 오는 것도 불편하고요. 그래서, 특정 영역만 복사 허용하기에 대한 설정을 보고 적용해 봤습니다. 그리고, 그 방법 역시도 제약사항이 있다고 느끼게 되었습니다. 일단, 기존 적용 방법부터 소개하고 대안도 함께 소개하고자 합니다. 마우스 오른쪽 클릭방지 사용 해제 우선 앞서 말한..